2025년 3월 30일 기준 코람코라이프인프라리츠 차트 분석 : 매도 전략
✅ 차트 분석
-
주가 흐름
-
2022년 초 최고가 7,353원을 기록한 후 지속적인 하락세.
-
2025년 초에 최저가 3,865원을 찍은 후 반등 시도 중.
-
최근 몇 개월은 하락세가 둔화되고 저점 부근에서 횡보 혹은 약한 반등 구간.
-
-
이동평균선
-
20개월선(녹색): 2022년 중반 이후 지속 하향 중이며 최근 반등에도 저항선 역할.
-
60개월선(분홍색), 120개월선(회색):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이며, 주가가 계속 하회 중. 강한 장기 저항선으로 작용 중.
-
-
거래량
-
최근 거래량이 2023~2024년 대비 다소 증가하며 저가 매수세 유입 가능성 시사.
-
하지만 아직은 추세 전환이라 보기엔 약함.
-
-
지지선
-
3,800원대는 과거 저점이며 현재 강한 지지로 작용.
-
이 가격대에서 반등이 실패하면 2차 지지선은 3,500원대로 예상.
-
-
저항선
-
단기 저항선: 4,600~4,800원, 20개월선과 겹침.
-
중기 저항선: 5,000~5,200원 구간, 과거 지지선이었으나 지금은 저항 역할.
-
📉 매도 시점 판단
[단기 투자자 기준]
-
1차 매도 시점: 4,600~4,800원 구간
-
이유: 20개월선 저항과 과거 박스권 하단. 이탈 실패 시 하락 재개 가능성 있음.
-
-
2차 매도 시점: 5,000~5,200원 구간
-
이유: 추가 상승 시 전환선 돌파 여부 확인 후 매도. 고점 대비 반등폭이 30% 이상이면 단기 차익 실현 유효.
-
[장기 투자자 기준]
-
부분 매도 시점: 5,000원 돌파 후 거래량 동반 상승 시
-
이유: 60개월선 접근 시 하락 추세선 전환 여부 중요. 전환 실패 시 장기 하락 지속 가능성.
-
-
전량 매도 시점: 5,500원 이상에서 장기 이평선 정배열 전환 실패 시
-
이유: 추세 반전 실패가 확인되면 장기 손실 방지 차원에서 매도 고려.
-
🔎 기타 고려사항
-
배당 수익률
-
리츠 종목은 주가 하락에도 배당 수익률이 중요함. 단순 주가 하락만으로 매도 판단은 금물.
-
배당 유지 여부 확인 후 투자 지속 여부 결정.
-
-
부동산 시장과 금리 변화
-
리츠는 금리 상승기에 약세. 현재 금리 방향 전환이 관건.
-
금리 인하 전환이 뚜렷해질 경우 주가 회복 가능성 존재.
-
-
시장 흐름과 뉴스
-
주요 포트폴리오 자산군(예: 오피스, 물류센터 등)의 가치 변화와 연관된 뉴스 체크 필요.
-
리츠 공모나 리파이낸싱 뉴스도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음.
-
🧭 결론
투자자 유형 | 현재 전략 | 매도 시점 | 근거 |
---|---|---|---|
단기 투자자 | 반등 구간에서 분할 매도 | 4,600~5,200원 | 기술적 저항선 접근, 20개월선 돌파 여부 주목 |
장기 투자자 | 부분 보유, 추세 반전 확인까지 대기 | 5,000원 이상 추세 확인 후 매도 | 장기 이평선 역배열 지속 시 손절 고려 |
-
단기적으론 기술적 반등이 시도되고 있으나, 장기 추세는 여전히 하락입니다.
-
투자 전략은 배당, 부동산 자산의 질, 금리 흐름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유연하게 조정해야 합니다.
✅ 차트 분석 (일봉 & 주봉 기준)
1. 일봉 분석
-
최근 3,865원에서 반등하여 현재 약 4,460원 부근.
-
20일 이동평균선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꺾이며, 골든크로스 시도 중.
-
60일선과의 데드크로스 해소 여부가 중요하며, 현재는 여전히 저항 중.
-
거래량 증가가 동반된 양봉 출현은 긍정적 신호이나, 5일선과 20일선 간乖離(乖離) 가 좁고, 강한 추세는 아직 부족.
2. 주봉 분석
-
장기 하락 추세선 안에서 하단지지 후 반등 시도 중.
-
2024년 후반~2025년 초까지 횡보 및 저점 다지기 구간이 형성됨.
-
5주선이 20주선과 골든크로스를 형성할지 여부는 향후 추세 전환의 핵심.
-
하지만 60주선은 여전히 하향 중이고, 최근 반등도 저항까지 충분히 도달하지 못한 상황.
📉 매도 시점 판단
[단기 매도 포인트: 일봉 기준]
-
4,600원 부근
-
근거: 60일 이동평균선 + 과거 갭 저항.
-
전략: 단기 반등 수익 실현, 5~10% 수익 확보용.
-
-
4,800원 ~ 5,000원
-
근거: 강력한 매물대 겹치는 박스권 상단.
-
전략: 매수세 약화 조짐 보이면 분할 매도.
-
[중기 매도 포인트: 주봉 기준]
-
5,000~5,200원
-
근거: 주봉 기준 20주선 돌파 후 재하락 빈번한 구간.
-
전략: 거래량 없이 이 구간 접근 시 보유 물량 일부 정리.
-
-
5,500원 이상
-
근거: 과거 지지선이자 현재 장기 추세 전환의 분기점.
-
전략: 추세 돌파 실패 시 전량 매도 고려.
-
🔍 기타 고려 포인트
-
양봉의 연속성
-
일봉상 3~4일 연속 상승하며 거래량 동반 시 상승 모멘텀 확산 가능.
-
반대로 음봉 전환 후 거래량 증가 시 하락 반전 경계.
-
-
갭 메움 여부
-
과거 하락 시 형성된 4,800원~5,100원 사이 갭은 강력한 저항. 이 갭을 메우는 흐름이 나올 경우 추가 상승 여력 존재.
-
-
주봉상 이중바닥 패턴 가능성
-
3,865원 부근을 이중 바닥으로 설정하고, 넥라인 4,800원 돌파 시 중기 상승 시그널 발생.
-
🧭 결론: 일봉/주봉 기준 매도 전략 요약
투자 유형 | 시점 구간 | 근거 및 전략 |
---|---|---|
초단기 (1~2주) | 4,600원 전후 | 일봉 60일선 저항, 갭매물 대응용 분할 매도 |
단기 (2~4주) | 4,800~5,000원 | 갭 저항대, 이중 바닥의 넥라인 근처, 수익 실현 |
중기 (1~3개월) | 5,200~5,500원 | 주봉 기준 저항대, 추세 전환 실패 시 전량 매도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