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목차 *

2025년 2월 21일 금요일

조선 시대 김치는 어떤 모습이었을까? 기록으로 살펴보는 변화 🥬✨

 

조선 시대 김치는 어떤 모습이었을까? 기록으로 살펴보는 변화 🥬✨

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식 중 하나예요. 하지만 우리가 아는 매콤한 배추김치는 조선 시대 초기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변해왔어요. 특히 고춧가루가 들어오기 전과 후의 차이가 컸는데요. 오늘은 조선 시대 문헌 속 김치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! 📜


조선 시대 김치, 어떻게 기록되었을까?

조선 시대에는 김치를 "침채(沈菜)"라고 불렀어요. '채소를 소금물에 절여 저장한다'는 의미로, 당시에는 소금과 젓갈을 활용한 단순한 방식으로 만들어졌죠.

이제 실제 조선 시대 문헌 속 김치 기록을 살펴볼까요?

1. 《중종실록》(1519년) - 동치미의 등장?

📜 원문:
"冬沈之物, 以蘿蔔爲主, 浸於鹽水, 貯於冬月, 以供食用。"

📖 해석:
"동침(冬沈)이라는 것이 있는데, 무를 주재료로 하여 소금물에 담가 겨울 동안 저장하여 먹는다."

설명:
이 기록에서 "冬沈(동침)"은 오늘날의 동치미와 비슷한 형태로, 무를 소금물에 절여 겨울에 먹던 방식을 보여주고 있어요.


2. 《정조실록》(1788년) - 저장 음식으로 활용

📜 원문:
"貯蘿蔔於冬, 浸於鹽, 俟時則食。"

📖 해석:
"무를 겨울 동안 저장하고, 소금에 절여 두었다가 때가 되면 먹는다."

설명:
여기서도 소금에 절인 무를 겨울 저장 음식으로 활용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어요.


3. 《산림경제》(17세기) - 배추와 무를 절여 김치를 만들다

📜 원문:
"凡作沈菜, 以白菜蘿蔔, 及諸菜, 鹽藏之, 以備冬用。"

📖 해석:
"대체로 침채(김치)를 만들 때는 배추와 무, 여러 채소를 소금에 저장하여 겨울에 대비한다."

설명:
배추와 무를 저장해 김치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요. 하지만 아직 고춧가루는 등장하지 않았죠.


4. 《증보산림경제》(1766년) - 고춧가루 등장! 🌶

📜 원문:
"作沈菜法, 先鹽藏白菜, 然後加辣椒粉, 魚醬, 蒜, 姜, 攪和, 俟時則熟。"

📖 해석:
"침채(김치)를 만드는 법은 먼저 배추를 소금에 절인 후, 고춧가루, 젓갈, 마늘, 생강을 넣고 섞어 두었다가 시간이 지나면 익는다."

설명:
여기서부터 "辣椒粉(고춧가루)"가 본격적으로 등장해요! 고춧가루, 젓갈, 마늘, 생강을 넣어 김치를 만드는 방식이 조선 후기에 자리 잡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어요.


5. 《규합총서》(1809년) - 현대 김치와 유사한 모습

📜 원문:
"白菜沈菜, 用辣椒粉與鹽, 魚醬, 蒜, 姜, 攪拌, 使味入, 以待熟食。"

📖 해석:
"배추 침채(김치)는 고춧가루와 소금, 젓갈, 마늘, 생강을 넣어 버무려 맛이 배게 한 후, 익을 때까지 기다려 먹는다."

설명:
이제는 오늘날의 김치와 거의 비슷한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어요. 조선 후기가 되면서 매운 김치가 대중화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죠.


고춧가루는 왜 김치에 들어갔을까?

임진왜란(1592~1598년) 이후 조선에 고추가 전해지면서 김치에도 사용되기 시작했어요. 그렇다면 왜 고춧가루가 김치에 널리 사용되었을까요?

보존성 증가

  • 고춧가루의 캡사이신 성분이 항균 작용을 해 김치가 더 오래 보관될 수 있었어요.

맛과 향의 변화

  • 기존의 김치는 소금과 젓갈로만 간을 했지만, 고춧가루가 더해지면서 감칠맛과 매운맛이 추가되었어요.

건강 효과

  • 고춧가루는 비타민 A, C가 풍부해 겨울철 체온 유지,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되었어요.

고추 재배의 확산

  • 17세기 후반부터 조선에서 고추 재배가 활발해지면서, 자연스럽게 김치에도 많이 사용되었어요.

조선 시대 김치 변천사 정리 📝

조선 초기: 소금과 젓갈로 간을 한 김치 (고춧가루 없음)
17세기: 배추와 무를 절여 저장하는 방식 정착
18세기 중반: 고춧가루가 김치에 사용되기 시작
조선 후기(19세기): 고춧가루, 젓갈, 마늘, 생강 등을 넣은 오늘날의 배추김치 형태 정착

👉 즉, 고춧가루의 도입으로 인해 김치는 단순한 저장 음식에서 한국 고유의 매운 발효 음식으로 발전했어요! 😊

이제 김치를 먹을 때마다 조선 시대의 기록을 떠올리며 김치의 깊은 역사를 한 번 생각해보는 것도 재미있겠죠? 😄🥬🔥